
In Baby Billy app
You can see more contents!

In Baby Billy app You can see more contents!

아이가 거짓말을 해요
View
2,180
언어능력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게 되는 3세 이후의 아이들은 때때로 거짓말을 하는데요.🧚 자기가 했던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하거나, 방금 눈 앞에서 벌어진 일을 인정하지 않기도 해요. 이러한 아이의 행동을 보고 엄마 아빠는 당황스럽기만 하죠.🤦 그렇다고 아이를 무작정 다그치기도, 거짓말을 용인할 수도 없는데요. 이럴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거짓말에 대처하는 방법
✔️ 거짓말하는 이유
3~5세의 아이들은 상상과 현실을 혼동해 하지 않았던 일을 했다고 보고하기도 하고, 반대로 했던 일도 하지 않았다고도 하는데요.💁♀️ (예: 아빠한테 혼났어) 사안이 심각하다면 사실 여부를 파악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거짓말’은 발달 과정 중에 자연스레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해요.💭 다만 이 시기 아이들의 거짓말은 일종의 방어기제일 수도 있는데, 예컨대 ‘엄마와 아빠에게 혼나고 싶지 않다’거나 발생한 일에 대한 결과를 피하고 싶은 마음에 거짓말이 나올 수도 있어요.
✔️ 거짓말하는 이유 파악하기
따라서 아이가 거짓말을 한 ‘이유’에 대해 생각하고 관찰할 필요가 있어요. 특히, 아이가 잦은 거짓말을 한다면 평소 엄마 아빠가 아이를 야단치는 모습을 떠올려 보세요.😡 아이는 실수로 저지른 일에 화를 내거나 야단치는 부모님의 모습을 보며 ‘혼나고 싶지 않은 마음’ 때문에 거짓말을 할 수도 있어요. 아이들의 거짓말이 회피의 기능을 갖기 때문이죠.🏃 따라서 이와 같은 이유로 아이가 거짓말을 한다면, 엄마 아빠는 아이를 훈육하는 방식을 보다 적절한 방법으로 바꾸어야 해요.
✔️ 자백과 인정보다 결과에 책임지도록 하기
때때로 아이가 명백한 거짓말을 했을 때 ‘네가 했어 안 했어’의 늪에 빠지기도 하는데요. 이때 아이의 자백을 받아내기 보다 아이가 거짓말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일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도록 해주세요.👌 또한 학습장면에서 이해하지 못하고, 모르는 것들에 관해 ‘다 안다’고 말할 때도 있는데요. 이때 아이의 거짓말은 ‘틀리기 싫다’, ‘모른다고 말하기 싫다’는 마음을 반영하기도 해서 ‘모르는 건 부끄러운 게 아냐. 몰라도 돼’, ‘틀리면 뭐 어때’ 등의 반응을 제시하는 것도 좋아요.✨ 생각보다 아이들은 ‘모른다’고 말하는 걸 싫어하는 친구들도 있거든요.
이렇듯 아이의 거짓말은 일상생활 속 사소한 것들부터 학습장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데요. ‘거짓말은 나쁘다’라는 생각에 아이를 다그치기보다 올바른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이유가 분명 있을 거예요.

Download Baby Billy app and see more various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