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비빌리 앱에서
더 많은 콘텐츠를 볼 수 있어요!

베이비빌리 앱에서 더 많은 콘텐츠를 볼 수 있어요!
NST(비수축검사, Nonstress Test)
조회
4,569
왜 하지?💡
태아와 산모의 기능적 상태를 진단하고, 태아의 심음과 자궁수축을 측정하는 검사에요!
어떻게 검사하는데?💉
엄마의 배에 도플러 초음파를 부착하고 태동이 느껴질 때마다 스위치를 눌러 저의 심작동수 변동을 검사해요.
빌리의 TMI👩⚕️:
NST의 원리가 알고싶어요!
태아심박동수는 교감신경 혹은 부교감신경의 자율신경계 영향에 의해서 심박동간의 증감이 일어나요. 이 검사에서는 태동에 따른 심박동수의 상승과 심박동간변이를 관찰하게 됩니다. 태아의 저산소증이나 신경학적인 억압으로 태아가 산증에 빠지지 않았다면 태동에 대한 반응으로 심박수가 상승될 것이라는 가정이 본 검사의 이론적 배경이랍니다.
주기적 태아심박수의 변화?
주기적 태아심박수의 변화는 자궁 수축과 관련해서 수축과 동시에 심박수 변화가 생기는지 수축 다음에 심박수 변화가 생기는지를 검사해요.결과는 총 5가지 종류로 분류될 수 있어요!
1) Acceleration(상승)
- 자궁 수축 시 심박동이 올라가면 좋은 결과에요
- 신경에서 호르몬을 쏴서 심박동을 잘 조절해요
2) Early deceleration
- 수축 후 바로 생기는 심박동 저하도 정상이랍니다
3) Late deceleration
- 수축 후 조금 이따가 생기는 심박동 저하는 자궁태반기능부전(태반반의 혈류장애로 태아에 대한 영양공급이 저하된 상태)으로 인한 저산소증의 첫번째 징후에요
- 태아에게 안좋은 상황이므로 확실한 late deceleration 소견이라면 수술을 준비하게 됩니다
4) Variable deceleration
- 분만 중 겪는 가장 흔한 태아 심박수 감소 형태로 자궁 수축과 태아 심박수 감소가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에요 대부분은 분만 중 탯줄이 눌린 경우이고 정상이랍니다.
- 하지만 일시적이지 않고, 변화가 쭉 없는것이 반복되는 결과는 비정상이에요
5) Prolonged deceleration
- 태아 심박동수가 2~10분 동안 감소되어있는 경우이며 심박동수가 10분 이상 감소되면 기준선(baseline)자체가 변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 우선은 좋지 않은 상황으로보고 수술을 준비하지만 수술 준비 중에 회복되어 정상분만 하기도 합니다

베이비빌리 앱 다운로드받고 더 다양한 콘텐츠 글을 구경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