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ที่แอป Baby Billy
คุณสามารถดูเนื้อหาเพิ่มเติมได้!

ที่แอป Baby Billy คุณสามารถดูเนื้อหาเพิ่มเติมได้!

보행기 타도 괜찮을까요?
รับชม
42,213
‘아이’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흔히 사람들은 보행기를 타고 있는 아이의 모습을 떠올려요. 그만큼 보행기는 부모님을 비롯한 일반 사람들에게도 익숙한 육아 아이템이죠. 하지만 모든 아기가 보행기를 탈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아이가 적절한 신체 발달을 이루어야 시도할 수 있죠. 오늘은 가깝고도 먼 당신, 보행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해요. 생후 7개월 전후의 아이가 있는 엄빠라면 이 글에 주목해주세요!
아이가 언제 보행기를 타나요?
특정 시기에 있는 모든 아이가 보행기를 탈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아이가 보행기를 탈 수 있는 최소한의 신체 발달이 이루어져야 보행기 탑승이 가능해요.😉 여기서 ‘최소한의 신체 발달’이란 아이 스스로 앉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해요. 아이들은 대체로 생후 6~8개월 시기에 스스로 앉을 수 있어요. 물론 아이 개인마다 발달의 차이는 있지만 보통 7개월 전후에 보행기를 타기 시작해 생후 15개월 전후에 보행기 타기를 마무리한다고 해요.
이처럼 부모님이 보행기를 타는 시기를 궁금해 하는 이유는 ‘보행기 타기가 걷기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까’😃하는 생각 때문인데요. 아직 까지 보행기 탑승과 걷기 발달에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다는 과학적인 증거는 없어요. 되레 생후 4~5개월처럼 너무 이른 시기에 보행기를 타면 몸이 한쪽으로 기울기 때문에 발달에 부적절하다고 해요. 또 일반적으로 생후 8개월에 보행기를 탄다고는 하지만 만약 이 시기까지 아이가 스스로 앉을 수 없다면 보행기 타기를 조금 늦추는 것이 좋아요.
보행기를 타면 좋은 점과 안 좋은 점
1. 보행기를 타면 좋은 점💕
크게 아이에게 좋은 점과 부모님에게 좋은 점을 들 수 있을 것 같아요. 먼저 아이에게 좋은 점은 이전보다 ‘활동 반경이 넓어진다’는 점이에요. 특히 타인과 사물을 구분 할 수 있는 이 시기에 보행기까지 탄다면 행동 반경이 넓어지며 스스로 다양한 자극을 경험할 수 있어요.😝무엇보다 하루 종일 아이와 붙어있는 엄마 아빠에게 보행기가 육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죠. 아이가 보행기를 타는 시간 동안 잠시나마 독립적인 시간을 보낼 수 있으니까요.
2. 보행기를 타면 안 좋은 점😵💫
아무래도 아이의 행동 반경이 커지다 보니 그전보다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여지가 높다는 점이에요. 평평하지 않은 공간이나 정리되지 않은 공간에서 보행기를 타게 되면 쉽게 위험에 처할 수 있어요. 또한 아이가 엄마 아빠와 분리되는 순간이다 보니 자칫 부모님이 한눈을 판 사이에 예상치 못한 일이 생길 수도 있어요.🫣 결국 ‘우리 아이의 안전’에 얼마나 주의를 기울이냐에 따라 보행기 타기의 장점이 큰 단점으로 이어질 수 있답니다.
보행기를 탈 때 주의 사항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이에요!
가장 기본은 아이가 보행기를 타는 공간을 깨끗이 정리하는 거예요. 보행기를 탈 때는 작은 장난감도 큰 장애물이 될 수 있으니 바닥을 정리해주세요. 또한 아이의 신체에 맞는 보행기를 태워주세요. 보행기의 높이가 아이와 맞지 않으면 신체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요. 보행기의 가장 적정한 높이는 아이가 앉았을 때 살짝 발이 보이는 정도라고 해요.🫶
보행기는 보통 하루 2시간 내로 타는 것이 좋고, 한 시간에 한 번씩 보행기에서 아이를 내려주세요. 무엇보다 아이에게 집중하는 것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제일 중요한 TIP! 이랍니다.😘

ดาวน์โหลดแอป Baby Billy และ พบกับบทความที่มีเนื้อหาหลากหลายมากขึ้น